공지사항 고객센터 이용약관 청소년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광고안내
ⓒ2025 DreamWiz
뉴스 > 정치 박선원 "계엄군, 하루전 출동 대기…구체적 임무는 몰라"


707 특임단 저격수 2명, 저격소총과 배낭에 꽂은 삼각대로 식별 (사진=박선원 의원실 제공)

 

[뉴스토마토 김유정 인턴기자] 문재인정부에서 국가정보원 제1차장을 지냈던 박선원 민주당 의원은 국회에 무장 진입한 계엄군에게 하루 전 출동대기 명령이 떨어졌다고 4일 주장했습니다.

 

이날 박 의원실에 접수된 제보에 따르면 "계엄군에게 샷건·실탄·기관단총이 지급됐고 현장에 저격수도 배치됐었다"는데요. 다만 계엄군은 북한 관련 사안으로 출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고, '막아라'는 임무만 들었을 뿐 구체적인 임무를 하달받지 못한 채 국회에 도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후 국회 본청 진입을 시도한 계엄군은 707 특임단과 제1공수특전여단인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박 의원 측은 "계엄군으로 출동한 707 특수임무단(이하 특임단)에는 2일 출동대기 명령이 떨어져 외부 훈련이 모두 최소됐다"며 "또 3일 낮엔 합동훈련과 전술평가가 모두 취소됐다"고 전합니다.

 

 

그러면서 "계엄령 발표 전날 20시경부터 707 특임단원에게 문자메시지를 통해 실제 출동 예고와 대기명령이 하달된 상태였다"며 "이러한 준비를 거쳐 계엄령 발표 1시간 만에 계엄군이 헬기를 통해 국회로 출동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박 의원은 "707 특임단에 실탄도 지급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707 특임단은 샷건·소총·기관단총·야간투시경·통로개척장비 등을 갖췄으며 저격수들도 배치됐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특전사 특수작저항공단은 3일 오전 이미 비행계획서를 제출했다"며 이는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 이전부터 계엄을 준비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12.03 20시경 707특수임무단 인원들에게 하달된 문자메시지 내용(사진=박선원 의원실 제공)

 

그러나 계엄군으로 출동했던 707 특임단은 '북한 관련 사안으로 출동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다며 "헬기가 국회에 착륙했고 헬기에서 내린 707 대원들은 구체적인 임무를 하달받지 못한 채 어리둥절하며 신속하게 움직이지 못했다"고 박 의원은 전했습니다.

그러면서 "현장에서 707 대원들에게 부여된 임무는 '막아라'였으며 실제 요인 체포는 군사경찰 등 별도 팀이 할 것으로 전달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박 의원 측에 따르면 "707 특임단은 국회본청 진입과 요인 체포 및 본회의 해산을, 제1공수특전여단은 707 특임단의 본청 진입 시 외곽 경계 임무를 맡았다"는데요. 이어 "제3공수특전여단은 전시 계엄지휘소로 예정돼있는 과천 B-1 벙커 경계를, 특전사 특수작전항공단은 UH-60P 특수 작전용 헬기로 병력 수송을, 수도방위사령부 군사경찰특임대(SDT)는 요인 체포조 또는 예비대로 운영했을 것"이라고도 덧붙였습니다.

 부대별로는 체계적으로 명령이 하달된 것으로 보이지만, 정작 개별 부대 내에서는 명확한 지시가 없었던 정황으로 파악됩니다.

 

 

김유정 인턴기자 pyun9798@etomato.com

newstomato.com | 김유정 기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