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고객센터 이용약관 청소년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광고안내
ⓒ2024 DreamWiz
뉴스 > 종합 IMF,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2.5%로 유지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장의 모습. IMF가 올해 마지막 보고서에서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2.5%로 지난 7월 발표 때와 동일하게 유지했다.

(사진=뉴시스)

 

[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전망해 지난 7월과 동일한 수치를 유지했습니다.

세계경제 전망치도 3.2%로 지난 발표와 동일합니다.

 

 

IMF는 22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10월 세계경제전망'을 발표했습니다.

앞서 IMF는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2.2%,  올해 1월과 4월에는 각각 2.3%로 제시한 바 있는데요. 지난 7월 0.2%포인트 상향한 후 동일한 전망을 이어갔습니다.

 

IMF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최근 국내외 주요 기관들에서 발표한 수준과 비슷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아시아개발은행(ADB), 한국개발연구원(KDI)과 2.5%로 같은 것인데요. 정부가 제시한 2.6%보다는 낮고 한국은행이 전망한 2.4%보다는 높지만 대체로 2% 중반대를 수렴합니다.

 

이번 보고서는 올해 마지막 발간인 만큼 내년 지표에도 관심이 모아집니다.

7월 당시 IMF는 내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낮은 2.2%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종전 전망치보다 0.1%포인트 하향 조정한 수준입니다.

올해 수출 호조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소비 둔화 영향이 계속되면 내년 전망치는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힌편, IMF는 올해의 세계 경제성장률을 3.2%로 제시, 잠재성장률 수준에 수렴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는 지난 7월 전망과 동일한 수치지만, 개별국 성장률에서는 일부 조정이 있었습니다.

상향조정한 곳은 미국(+0.2), 영국(+0.4), 프랑스(+0.2), 브라질(+0.9) 등이며, 하향조정한 곳은 일본(-0.4), 중국(-0.2), 멕시코(-0.7) 등입니다.

 

 

나라별로 살펴보면 미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최종 2.8%로 실질임금 상승에 따른 소비 개선 등으로 상향 조정됐습니다.

영국(1.1%), 프랑스(1.1%), 스페인(2.9%) 등 대부분 유럽 국가들의 성장률도 통화정책 완화의 영향으로 상향 전망됐습니다.

 

 

주요국 중 일본은 자동차 생산 차질 등의 이유로 10월 경제성장률 전망을 하향했다.

사진은 경기 성남시 모란시장 주차장에 자동차들이 주차돼 있다.

(사진=뉴시스)

 

다만 제조업 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독일(0.0%)은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일본(0.3%) 성장률도 하향 조정했는데, 이는 자동차 생산 차질 등의 부정적 영향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신흥개도국 그룹인 중국과 인도, 러시아, 브라질 등 155개국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4.2%로 전망했습니다.

세부적으로는 부동산 시장 침체 지속과 소비 심리 악화를 이유로 중국 성장률(4.8%)이 하향 조정됐는데요. 반면 브라질(3.0%)은 상반기 민간 소비 및 투자 확대 등으로 성장률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IMF는 지난 7월 전망에 비해 세계 경제 하방조정 위험요인이 보다 확대된 것으로 평가했습니다.

상방조정 기능요인은 주요 선진국에서 투자 회복과 구조개혁 모멘텀 확산에 의한 잠재성장률 제고 등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그간 긴축적 통화정책의 시차 효과에 따른 성장과 고용에 부정적인 영향, 중국 부동산 부문 위축 지속, 전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 및 지정학적 위기 심화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 등을 하방조정 위험요인으로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IMF는 중앙은행이 물가·성장·고용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신중하고 유연하게 통화정책을 시행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재정 당국에 대해선 재정여력 확보를 위한 건전재정 기조 강화와 함께 취약 계층 보호를 위한 선별 지원을 권고했습니다.

 

 

더불어 통화정책 전환으로 인한 자본이동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제한적인 외환시장 개입과 함께 급격한 위기 발생 시 자본흐름제한조치 활용도 제안했습니다.

또 중장기 생산성 제고를 위한 구조개혁 및 기후변화 대응 노력과 함께 자유로운 무역 복원을 위한 다자간 협력 강화 필요성도 언급했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

newstomato.com | 이진하 기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