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 재정 지원이 끊긴 TBS가 폐국 위기를 맞았습니다.
예고됐던 전원 해고 문제는 절차상 문제로 무효될 가능성이 높아졌지만, 직원들의 인건비 외에 송출비마저 바닥이 나 방송국이 사실상 '블랙아웃' 상태에 빠지게 됐습니다.
전국언론노동조합 TBS지부는 지난달 26일부터 무급휴가제를 도입했고, 이달 직원 50여명이 무급휴가에 들어갔다고 밝혔는데요. 직원들의 9~10월 임금은 지급되지 않은 상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TBS는 연간 예산의 70%를 출연금에 의존했지만 올 6월부터 지원이 끊겨 폐업 위기에 내몰렸습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올 4월 시의회에 TBS 예산 지원 중단일을 9월 1일로 3개월 연장하는 개정안을 제출했지만 상정조차 되지 않아 예정대로 6월부터 지원이 중단됐습니다.
현재 TBS 사태를 만든 것을 두고 현직 서울시장인 오 시장의 탓을 많이 하는데요. 그 이면을 살펴보면 서울시의회에 절반이 넘는 국민의힘 시의원들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중 이명박 정부에서 방송통신위원장을 엮임 한 최시중의 딸이자 현재 서울시의장의 최호정 의장이 있습니다.
그는 시의원으로 3선을 하면서 가장 뿌듯하게 생각하는 입법 활동에 자신이 대표 발의한 'TBS 지원조례 폐지안'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예전에는 필요했던 조례였으나, 세월이 지나면서 정리해야 했던 것"이라고 이유를 언급했습니다.
TBS의 앞날에 대해선 "서울시가 'TBS의 어떤 방송이 서울시민을 위해 꼭 필요하다'고 해서 새로운 조례나 대책 같은 지원 근거를 가져오면 논의해보겠다"고 본지와 지난 7월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 밝혔습니다.
반면, 송지연 언론노조 TBS지부장은 지난 17일에 열린 서울시 국정감사에서 "TBS 폐국 위기는 정권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방송사 하나를 없앨 수 있다는 사건"이라며 "TBS 폐국이 선례로 남으면 TBS 구성원들만 아니라 사회 전체의 민주주의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정부 여당을 지적했는데요.
그동안 TBS의 문제는 서울시와 시장에게 종속될 수밖에 없는 조직구조 때문입니다.
그동안 TBS는 서울시 과장급 공무원의 지도와 감독을 받도록 되어있어, 독립적으로 서울시의 행정과 운영을 시민의 눈으로 감시하고 비판하는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대 서울시장들은 TBS를 마치 자신들의 개인 홍보매체인 것처럼 생각하고 서울시와 시장 홍보에 적극 활용해 왔습니다.
이는 앞서 언급한 시장에 종속된 조직구조 때문인데요. 따라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서울시가 TBS를 서울시 공무원의 직접적 관리, 감독을 받지 않는 독립 기구로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TBS를 시민들과 시민단체, 다양한 분야의 대표성을 가진 인사들이 참여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공익적 이사회가 관리·감독하도록 하는 서울시 출연 재단법인을 변경하는 방안이 필요합니다.
연간 약 400억원 정도에 예산에서 81%가 서울시민의 세금인 서울시 전입금으로 충당됐던 것을 생각해 본다면 TBS를 다시 시민의 품으로 돌려줘야 합니다.
최호정 서울특별시의회 의장이 지난 7월 본지와 인터뷰에서 3서 활동에서 가장 뿌듯한 일로 'TBS 조례폐지안'을 대표 발의한 것이라고 꼽았다.
사진은 지난 8월 28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특별시의회에서 열린 제326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개의를 선언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