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고객센터 이용약관 청소년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광고안내
ⓒ2025 DreamWiz
뉴스 > 종합 (고물가 쓰나미)②금값 된 먹거리…더 오르면 서민경제 '치명타'


 

[뉴스토마토 김성은 기자] 새해에도 고물가 현상이 이어질 경우 국민 살림살이에 직격탄이 가해질 수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 몇 년간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평균치를 크게 웃돌았던 터라 향후에도 '푸드플레이션'(푸드+인플레이션)이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먹거리 가격이 오를수록 서민들의 생활고가 가중됨에 따라 정부의 조기 대응이 중요하다는 목소리입니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20년 0.5%에서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하면서 △2021년 2.5% △2022년 5.1%로 뛰었습니다.

이후 △2023년 3.6% △2024년 2.3%로, 점점 둔화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는 4개월 연속 1%대 물가 상승률을 유지하며 다소 안정세 접어든 모습입니다.

하지만 고물가 현상의 여진이 지속되는 데다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과 강달러 기조로 새해 물가 상승률 안정세를 장담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환율이 오르면 수입 물가가 오르고, 이는 전체 물가를 올리는 악순환으로 연결된다"며 "우리나라는 에너지를 100% 수입하고, 먹거리의 80%가량을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고환율에 따른 타격을 크게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인포그래픽=뉴스토마토)

 

식탁 물가 또한 위협받고 있습니다.

생활물가지수 중 식품 분야 상승률은 △2020년 2.9% △2021년 4.7% △2022년 6.9% △2023년 5.6% △2024년 3.6%로 전체 물가 상승률을 상회했습니다.

구입 빈도와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으로 작성된 생활물가지수는 체감 물가를 나타냅니다.

이 중 식품 분야는 빵·곡물, 채소·과일, 과자·음료류, 주요 외식 메뉴 등 84개 품목에 대한 부분을 담고 있습니다.

 

최근 먹거리 물가 상승률이 둔화됐지만 코로나발 물가 폭등세에 기후플레이션까지 말썽을 부리면서 먹거리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습니다.

정세 불안과 환율 급등으로 새해 물가 상승세가 높아질 시 식탁 물가 또한 매섭게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에너지 비용과 물류비가 오르면서 농산물 생산 가격이 더 오를 수밖에 없고, 빈번해진 이상기후 현상은 또 어느 농산물의 가격을 끌어올릴지 알 수 없는데요. 수입산 원료로 만드는 가공식품의 경우 고환율이 굳어지면 식품사들의 원가 부담이 확대되고, 이는 결국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도달할 것이라는 분석이 있죠.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몇 개월 치 수입 원료 사용량을 미리 구입하기 때문에 고환율에 따른 악영향을 예단하기는 이르다"면서도 "고환율로 원가 부담이 가중되면 조치를 취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의 한 시장에서 시민이 농산물을 구매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문가들은 한국경제 마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국 안정이 가장 중요하다고 짚었습니다.

물가 상승 시 서민 삶에 더욱 큰 타격이 가해짐에 따라 먹거리 가격을 선제적으로 낮춰 생활의 어려움을 덜어야 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김 교수는 "정치적 안정이 가장 시급하다"면서 "정국 불안이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경제도 정상화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어 "우리나라는 교역으로 먹고사는 나라인 만큼 빠른 정치적 혼란 수습으로 대외 무역에 미칠 악영향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국민들이 자주 찾는 신선식품에는 정부의 과감한 할인 지원이, 식재료 수입에는 할당관세를 적극적으로 적용할 필요가 있다"며 "다른 것은 오르더라도 국민들이 먹거리는 좀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도록 식탁 물가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김성은 기자 kse5865@etomato.com

newstomato.com | 김성은 기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