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진하 기자] 통신시장 환경 급변화에 알뜰폰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5G보다 불리한 LTE 요금제 가입 제한과 단통법 폐지, 도매대가 사후규제 등이 알뜰폰 사업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데요. 정부가 이달 내 알뜰폰 경쟁력 강화 대책을 내놓겠다고 예고했는데, 실효성이 있는 대책이 나올지 관심이 쏠립니다.
급변하는 통신 시장에 알뜰폰 업계의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5G보다 불리한 LTE 요금제 가입 제한과 단통법 폐지, 도매대가 사후규제 등은 알뜰폰 업계의 사업 환경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사진=뉴시스)
10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에 따르면 지난해 알뜰폰 번호이동 순증수는 37만7432건으로 2023년 80만896건과 비교해 52.8% 감소했습니다.
가입자 1000만 명을 목전에 두고 알뜰폰 번호이동 순증 규모가 1년만에 크게 꺾인 모양새인데요.
이는 통신 3사(SK텔레콤(017670), KT(030200), LG유플러스(032640))가 2023년 '통신비 부담 완화 방안'을 낸 이후 3만원대 저렴한 5G 요금제를 출시하면서 알뜰폰 요금제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됐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다 통신3사의 LTE 요금제 가입 금지 및 통합 요금제 출시까지 더해졌는데요. LTE 요금제가 5G 요금제보다 비싸지면서 '요금 역전 현상'을 해소하란 정부의 지적이 나온 데 따른 조치입니다.
KT는 지난 2일부터,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다음 달부터 5G보다 비싼 LTE 요금제 신규 가입을 받지 않기로 했습니다.
이들 3사는 지난해부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LTE와 5G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통합요금제 출시도 논의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개편안이 발표되지 않았지만, 통신 3사가 요금제 통합 및 재편 과정에서 역전된 LTE 요금제는 인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전망입니다.
비정상적인 요금 체계를 바로잡는다는 차원입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하지만 LTE 요금제 인하는 알뜰폰 업계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는데요. 알뜰폰의 경우 5G 대비 LTE 요금제에 대한 비중이 커 통신 3사가 요금제 인하에 나설 경우 점유율 상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알뜰폰의 LTE 이용자 수는 892만명이었지만 5G 이용자 수는 37만명에 그쳤습니다.
여기에 오는 6월부터 현실화되는 단통법 폐지가 알뜰폰 사업자들에게 새로운 위협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데요. 통신 3사의 보조금 제약이 없어지면 알뜰폰에서 이탈하는 가입자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알뜰폰 업계는 새해부터 초저가 요금제를 쏟아내면서 가입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알뜰폰 업계는 도매대가 사후규제에 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고 있습니다.
알뜰폰 사업자들은 이동통신(MNO)으로부터 망을 빌려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도매대가를 지불하는데요. 기존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협상력이 낮은 알뜰폰 사업자를 대신해 도매제공의무사업자와 도매대가 협상을 진행했지만, 오는 4월부터는 알뜰폰 사업자가 도매대가 협상에 직접 나서게 되는 '사후규제' 방식으로 전환됩니다.
이런 가운데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통신 3사를 포함한 대기업의 알뜰폰 합산 점유율을 60%로 정하는 전기통신사업법 개정안이 지난달 27일 국회 상임위원회를 통과했습니다.
아직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 통과까지 남아있지만 알뜰폰 업계는 우려의 시각을 내놓고 있습니다.
대기업의 알뜰폰 시장 점유율 제한이 50%에서 60%로 확대되는 것은 일면 알뜰폰에 유리한 것처럼 보이나, 통신 3사를 포함한 대기업의 알뜰폰 사업 확대를 사실상 막을 경우 시장 전체가 위축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
이진하 기자 jh311@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