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고객센터 이용약관 청소년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광고안내
ⓒ2025 DreamWiz
뉴스 > 종합 대외신인도가 뭐길래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지난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마리 디론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 국가신용등급 글로벌 총괄과 화상 면담을 하고 있다.

(사진=기재부)

 

최근 경제 기사를 보면 '대외신인도'라는 말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탄핵 정국까지 이어지면서 하루에 한두 번꼴로는 보는 것 같습니다.

 

대외신인도는 말 그대로 외부 또는 외국에서 기업 또는 국가에 대한 신뢰수준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대외신인도를 평가하는 대표적 척도는 국가신용등급입니다.

개인의 신용을 평가하듯 신용평가사가 국가의 재정 등을 바탕으로 신용도를 평가하는 것입니다.

 

국가신용등급은 주로 무디스, 스탠다드앤푸어스(S&P), 피치 등 글로벌 신용평가사가 매기는데, 이 3사는 전체 국제 신용평가시장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등급은 20여개로 세분화돼 있습니다.

가령 S&P는 투자적격 등급(AAA~BBB-), 투자주의 등급(BB+~CCC-), 투자부적격 등급(CC~D) 등 총 23개 등급으로 분류해 신용을 평가합니다.

이중 한국은 세 번째로 높은 단계인 AA등급입니다.

 

그런데 최근 3대 신평사가 한국 경제를 향해 경고장을 던졌습니다.

3대 신평사는 지난 9일 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화상 면담에서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경우 부정적 영향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국가신용등급의 하락 위험을 넌지시 던진 것입니다.

 

국가신용등급이 강등될 경우 국고채 금리 상승은 물론, 환율 폭등과 기업 활동 위축 등 심각한 경제 위기가 올 수 있습니다.

앞서 무디스는 지난해 12월 정치적 불안이 지속된 프랑스의 신용등급을 강등한 바 있습니다.

프랑스는 신용등급이 떨어지면서 2%대였던 10년물 국채 금리가 3%대로 훌쩍 뛰기도 했습니다.

 

등급은 한 번 내려가면 회복이 쉽지 않습니다.

오르는 것도 오랜 시간 공을 들여야 가능합니다.

때문에 한 번 추락하면 신뢰 회복이 쉽지 않다는 게 시장의 평가입니다.

한국은 지난 2001년 IMF의 구제금융 조치를 졸업했지만, IMF 직전 수준(AA-)으로 신용등급이 회복된 건 2015년입니다.

이후 지금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가까스로 유지하고 있는 국가신용등급이 정치 리스크 앞에서 한 순간에 무너질 위기에 처했습니다.

힘겹게 쌓아올린 공든 탑이 무너질 위기에 처하자 경제수장들은 노심초사, 안절부절, 전전긍긍 하는 모습입니다.

유일한 해법은 어서 빨리 정치적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정치 불안을 최대한 빨리 끝내는 일만이 국가신용등급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임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박진아 기자 toyouja@etomato.com

newstomato.com | 박진아 기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