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규하 기자] 연말·설 특수를 앞두고 탄핵정국을 틈탄 사재기·가격담합 등 불공정거래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특히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환율 상승과 이상 기후, 국내 정치 상황이 교차하면서 수입·외식 등의 물가 변동성 확대도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동향분석실 자료를 보면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통화기금(IMF),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을 2% 내외로 낮췄다"며 "탄핵정국이 국내 경제 전반에 걸쳐 나쁘게 작용하면서 농수축산식품과 외식 물가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19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딸기를 고르고 있다.
(사진=뉴시스)
식품·외식물가 '불안감'
농축산물·가공식품·외식 물가는 복합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단기적으로 볼 때 불확실한 정치 상황은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한 내수시장 수요 감소를 불러온다는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고환율로 인한 물가 상승이 상쇄될 여지도 존재한다고 봤습니다.
실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기인 2016년 10월~2017년 3월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평균치는 1.8%로, 20년 평균치인 2.4%보다 낮습니다.
다만, 같은 기간 농수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 증감률이 7.5%로 20년 평균치 3.5%보다 2배 이상 뛰었습니다.
농경연 측은 "당시 박 전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소비 수요를 짓누르면서 환율 급등에 따른 물가상승 요인마저 잠재워 버렸다"며 "농수축산물 생산과 수급 여건이 나빠지면서 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산물유통정보(KAMIS)를 보면 겨울철 신선과일인 감귤과 딸기 가격이 전년보다 10% 넘게 올랐습니다.
여름 폭염 여파에 따라 출하량이 감소한 원인입니다.
김광수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교수는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과수와 채소 작물의 주요 생산지 변화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 변화양상은 남부와 중부가 다르며, 연간 생산성의 변동폭이 확대됐다"고 말했습니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동향분석실 자료를 보면 박근혜 전대통령 탄핵시기인 2016년 10월~2017년 3월 기간 농수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 증감률이 7.5%로 20년 평균치 3.5%보다 2배 이상 뛰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통화정책 변화…농수축산물 자극"
농경연은 "환율이 오르면 생산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인 식품산업, 그리고 30%~40%에 달하는 외식 물가 또한 상승할 것"이라며 "밀, 대두, 옥수수 등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식품산업의 특성 때문에 원재료 수입가격이 높아지면 생산비를 늘려 밀가루, 식용유, 곡물가공품, 제과·제빵 등 가공식품 값은 물론 외식 물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탄핵정국으로 인해 환율의 고공행진이 장기화하면 수입 원료 가격을 높여 사료, 비료, 농자재, 농기계, 부품, 석유·전기·가스비 등 농가지출 부담을 늘리고 농수축산물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정부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농수축산물 물가 자극도 변수로 지목했습니다.
농경연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 10월과 11월 두 차례 걸쳐 3.5%에서 3%로 낮췄다"며 "이로써 2020년 5월 이후 장기간 오름세를 보였던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통화정책은 긴축에서 완화 쪽으로 선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경제성장률 둔화, 외국인 투자와 고용의 위축과 같은 경기침체를 해소하려고 정부가 금리를 낮추는 통화정책을 펼치면 단기적으론 내수 회복,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서민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물가를 끌어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측은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해도 소비자가 납득할 만한 합리적인 수준에서 인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업계와 지속적인 소통·협력을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는 가격 인상 시기 이연, 인상률·인상품목 최소화 등을 꼽고 있습니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지난 2022년 9월 최고 상승률을 보인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 왔습니다.
올해 10·11월에는 2.9%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이상기후, 재배면적 감소 요인과 원가 부담은 최대 고민거리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환율의 경우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전망이 나오면서 원·달러 1450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2009년 3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9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이 외환 스와프 거래 한도를 650억달러로 증액하는 등 외환시장 안정화를 꾀하고 있지만 1400원대의 환율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 18일 김현정 민주당 국회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를 통해 "8년 전처럼 설을 앞두고 농수축산물 물가가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가격담합 등의 불공정거래 행위에 대한 감시 강화를 당부한 바 있습니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꼼꼼하게 살펴보겠다"고 답한 상태입니다.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
newstomato.com | 이규하 기자
특히 대외 불확실성에 따른 환율 상승과 이상 기후, 국내 정치 상황이 교차하면서 수입·외식 등의 물가 변동성 확대도 배제할 수 없는 분위기입니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동향분석실 자료를 보면 "최근 아시아개발은행(ADB), 국제통화기금(IMF),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국내외 기관들이 한국 경제성장률을 2% 내외로 낮췄다"며 "탄핵정국이 국내 경제 전반에 걸쳐 나쁘게 작용하면서 농수축산식품과 외식 물가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19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이 딸기를 고르고 있다.
(사진=뉴시스)
식품·외식물가 '불안감'
농축산물·가공식품·외식 물가는 복합적인 요인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단기적으로 볼 때 불확실한 정치 상황은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한 내수시장 수요 감소를 불러온다는 판단입니다.
이에 따라 고환율로 인한 물가 상승이 상쇄될 여지도 존재한다고 봤습니다.
실제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시기인 2016년 10월~2017년 3월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지수의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 평균치는 1.8%로, 20년 평균치인 2.4%보다 낮습니다.
다만, 같은 기간 농수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 증감률이 7.5%로 20년 평균치 3.5%보다 2배 이상 뛰었습니다.
농경연 측은 "당시 박 전 대통령 탄핵정국으로 인한 정치 불확실성이 소비 수요를 짓누르면서 환율 급등에 따른 물가상승 요인마저 잠재워 버렸다"며 "농수축산물 생산과 수급 여건이 나빠지면서 가격에 직접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농산물유통정보(KAMIS)를 보면 겨울철 신선과일인 감귤과 딸기 가격이 전년보다 10% 넘게 올랐습니다.
여름 폭염 여파에 따라 출하량이 감소한 원인입니다.
김광수 서울대학교 농림생물자원학부 교수는 "기후변화와 사회경제적인 이유로 인해 과수와 채소 작물의 주요 생산지 변화 단위 면적당 생산량의 변화양상은 남부와 중부가 다르며, 연간 생산성의 변동폭이 확대됐다"고 말했습니다.
19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동향분석실 자료를 보면 박근혜 전대통령 탄핵시기인 2016년 10월~2017년 3월 기간 농수축산물 소비자물가지수 증감률이 7.5%로 20년 평균치 3.5%보다 2배 이상 뛰었다.
(그래픽=뉴스토마토)
"통화정책 변화…농수축산물 자극"
농경연은 "환율이 오르면 생산원가에서 원재료가 차지하는 비중이 60%~70%인 식품산업, 그리고 30%~40%에 달하는 외식 물가 또한 상승할 것"이라며 "밀, 대두, 옥수수 등을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식품산업의 특성 때문에 원재료 수입가격이 높아지면 생산비를 늘려 밀가루, 식용유, 곡물가공품, 제과·제빵 등 가공식품 값은 물론 외식 물가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이어 "탄핵정국으로 인해 환율의 고공행진이 장기화하면 수입 원료 가격을 높여 사료, 비료, 농자재, 농기계, 부품, 석유·전기·가스비 등 농가지출 부담을 늘리고 농수축산물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정부의 통화정책 변화에 따른 농수축산물 물가 자극도 변수로 지목했습니다.
농경연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올 10월과 11월 두 차례 걸쳐 3.5%에서 3%로 낮췄다"며 "이로써 2020년 5월 이후 장기간 오름세를 보였던 기준금리가 인하되면서 통화정책은 긴축에서 완화 쪽으로 선회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경제성장률 둔화, 외국인 투자와 고용의 위축과 같은 경기침체를 해소하려고 정부가 금리를 낮추는 통화정책을 펼치면 단기적으론 내수 회복,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서민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물가를 끌어 올릴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측은 가격 인상 요인이 발생해도 소비자가 납득할 만한 합리적인 수준에서 인상이 이뤄질 수 있도록 업계와 지속적인 소통·협력을 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식품·외식 물가 안정을 위한 방안으로는 가격 인상 시기 이연, 인상률·인상품목 최소화 등을 꼽고 있습니다.
외식물가 상승률은 지난 2022년 9월 최고 상승률을 보인 이후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여 왔습니다.
올해 10·11월에는 2.9%를 유지하고 있지만 최근 이상기후, 재배면적 감소 요인과 원가 부담은 최대 고민거리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환율의 경우는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전망이 나오면서 원·달러 1450원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2009년 3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5년9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기획재정부를 비롯한 외환당국과 국민연금이 외환 스와프 거래 한도를 650억달러로 증액하는 등 외환시장 안정화를 꾀하고 있지만 1400원대의 환율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지난 18일 김현정 민주당 국회의원은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를 통해 "8년 전처럼 설을 앞두고 농수축산물 물가가 크게 오를 가능성이 있다"며 가격담합 등의 불공정거래 행위에 대한 감시 강화를 당부한 바 있습니다.
한기정 공정거래위원장은 "꼼꼼하게 살펴보겠다"고 답한 상태입니다.
19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환율이 표시돼 있다.
(사진=뉴시스)
세종=이규하 기자 judi@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