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이종용·문성주 기자] 금융당국은 신동아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을 두고 전체 시장에 미치는 파급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탄핵 정국 혼란 등으로 실물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리스크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금융사, 담보 설정으로 리스크 최소화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시공능력평가순위(시평) 58위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과 관련해 중소형 건설사의 차입금과 금융권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기설이 돌았던 지난해 말부터 부채비율이 높은 건설사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해왔다"며 "신동아건설 관련 금융권 차입금도 대부분 담보나 보증이 있어 손실 위험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19년 신동아건실이 워크아웃을 졸업한 이후 발생한 신규 대출도 거의 없다고 전했습니다.
감사보고서를 통해 신동아건설 경영상황을 살펴보면 2025년 이후 상환할 차입금이 2620억원에 달하는데 25개 지역농업협동조합으로 구성된 농협이 차입금이 총 1000억원 이상으로 대부분에 해당합니다.
은행권에서는 KDB산업은행 400억원, 수협은행 320억원, 농협은행 200억원, 하나은행 130억원입니다.
이 중 올해 상환을 계획한 차입금은 2000억원에 달하는데요. 오는 7월 삼성생명와 삼성화재, IBK연금보험에서 빌린 브릿지론 356억원 상환 기일이 다가옵니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이들 차입금도 담보 설정이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상적으로 건설사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예의주시하는 것은 PF사업장입니다.
신동아건설 PF사업장의 경우 13곳으로 태영건설(60곳)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자체 시행이 이뤄지고 있는 곳은 1~2곳에 불과합니다.
공동 참여한 나머지 업체들이 신동아건설의 사업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영건설과 달리 신동아건설은 PF-ABCP를 비롯한 발행한 회사채도 전무합니다.
과거 태영건설 사태 때 빈번했던 차환 리스크를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입니다.
부동산 업계에서 PF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은 건설사나 시행사의 자금조달 창구로 쓰여왔는데요. 수십조원에 달하는 PF-ABCP는 태영건설 사태를 비롯해 레고랜드 사태에서도 자금시장을 경색시키는 주된 배경이 된 바 있습니다.
시공능력평가 50위권의 중견건설사인 신동아건설이 지난 6일 법원에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사진은 신동아건설 본사 (사진= 연합뉴스)
건설업 줄도산 우려 점증
금융당국이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에 대해 시장 여파가 미미하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건설업계의 줄도산 공포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하 속도 둔화에 정치적 불안정성까지 겹치면서 부동산 건설 경기 전망이 더욱 흐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채권 규모는 2024년 9월말 기준 25조4860억원으로 금감원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대치입니다.
5년 전인 2019년 9월말 14조3927억원에 비하면 11조933억원(약 77.08%) 늘어났습니다.
건전성 지표도 나빠지고 있습니다.
5대 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연체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041억 원으로 전년 동기(832억 원) 대비 209억 원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의 건설업종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 연체된 부실채권)은 2780억원에서 4284억원으로 54.10% 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대출 채권 부실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건설사들은 부동산PF 부실 사태 여파로 재무건전성이 악화하고 차입금 상환 여력도 저하된 상황입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지방 부동산 부진 △비아파트(연립·다세대·오피스텔) 부동산시장 침체 △사업 지연 시 건설·신탁사로 부실 전이 가능성 등을 부동산PF 관련 잠재 리스크(위험)로 꼽았습니다.
실제 일부 건설사는 이미 재무부담이 한계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평 30위권내 건설사 중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적정기준인 200%를 웃도는 곳은 10곳에 이릅니다.
하준경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내수와 밀접한 건설업 특성상 내수 경기가 살아나지 않으면 붕귀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며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가 건설업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적다 하더라도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건설사는 구조조정 압박에 놓여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하 속도 둔화에 정치적 불안정성까지 겹치며 건설업계의 줄도산 공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문성주 기자 moonsj7092@etomato.com
newstomato.com | 이종용 기자
다만 탄핵 정국 혼란 등으로 실물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에 따른 금융 리스크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금융사, 담보 설정으로 리스크 최소화
7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시공능력평가순위(시평) 58위 신동아건설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것과 관련해 중소형 건설사의 차입금과 금융권 영향 등을 점검하고 있습니다.
금감원 관계자는 "위기설이 돌았던 지난해 말부터 부채비율이 높은 건설사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해왔다"며 "신동아건설 관련 금융권 차입금도 대부분 담보나 보증이 있어 손실 위험은 크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지난 2019년 신동아건실이 워크아웃을 졸업한 이후 발생한 신규 대출도 거의 없다고 전했습니다.
감사보고서를 통해 신동아건설 경영상황을 살펴보면 2025년 이후 상환할 차입금이 2620억원에 달하는데 25개 지역농업협동조합으로 구성된 농협이 차입금이 총 1000억원 이상으로 대부분에 해당합니다.
은행권에서는 KDB산업은행 400억원, 수협은행 320억원, 농협은행 200억원, 하나은행 130억원입니다.
이 중 올해 상환을 계획한 차입금은 2000억원에 달하는데요. 오는 7월 삼성생명와 삼성화재, IBK연금보험에서 빌린 브릿지론 356억원 상환 기일이 다가옵니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이들 차입금도 담보 설정이 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상적으로 건설사의 구조조정 과정에서 금융당국이 예의주시하는 것은 PF사업장입니다.
신동아건설 PF사업장의 경우 13곳으로 태영건설(60곳)에 크게 미치지 못하고, 자체 시행이 이뤄지고 있는 곳은 1~2곳에 불과합니다.
공동 참여한 나머지 업체들이 신동아건설의 사업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사업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영건설과 달리 신동아건설은 PF-ABCP를 비롯한 발행한 회사채도 전무합니다.
과거 태영건설 사태 때 빈번했던 차환 리스크를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기입니다.
부동산 업계에서 PF 대출을 기초자산으로 발행한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은 건설사나 시행사의 자금조달 창구로 쓰여왔는데요. 수십조원에 달하는 PF-ABCP는 태영건설 사태를 비롯해 레고랜드 사태에서도 자금시장을 경색시키는 주된 배경이 된 바 있습니다.
시공능력평가 50위권의 중견건설사인 신동아건설이 지난 6일 법원에 기업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사진은 신동아건설 본사 (사진= 연합뉴스)
건설업 줄도산 우려 점증
금융당국이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에 대해 시장 여파가 미미하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건설업계의 줄도산 공포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하 속도 둔화에 정치적 불안정성까지 겹치면서 부동산 건설 경기 전망이 더욱 흐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의 건설업종 대출채권 규모는 2024년 9월말 기준 25조4860억원으로 금감원이 관련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대치입니다.
5년 전인 2019년 9월말 14조3927억원에 비하면 11조933억원(약 77.08%) 늘어났습니다.
건전성 지표도 나빠지고 있습니다.
5대 은행의 건설업종 대출 연체 규모는 지난해 9월 말 기준 1041억 원으로 전년 동기(832억 원) 대비 209억 원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5대 은행의 건설업종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원리금 상환 연체된 부실채권)은 2780억원에서 4284억원으로 54.10% 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대출 채권 부실화가 이미 진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옵니다.
건설사들은 부동산PF 부실 사태 여파로 재무건전성이 악화하고 차입금 상환 여력도 저하된 상황입니다.
한국은행은 최근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지방 부동산 부진 △비아파트(연립·다세대·오피스텔) 부동산시장 침체 △사업 지연 시 건설·신탁사로 부실 전이 가능성 등을 부동산PF 관련 잠재 리스크(위험)로 꼽았습니다.
실제 일부 건설사는 이미 재무부담이 한계치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시평 30위권내 건설사 중 지난해 3분기 기준 부채비율이 적정기준인 200%를 웃도는 곳은 10곳에 이릅니다.
하준경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는 "내수와 밀접한 건설업 특성상 내수 경기가 살아나지 않으면 붕귀에 대한 우려는 지속될 수밖에 없다"며 "신동아건설의 법정관리가 건설업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적다 하더라도 재무건전성이 취약한 건설사는 구조조정 압박에 놓여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출 규제 강화와 금리 인하 속도 둔화에 정치적 불안정성까지 겹치며 건설업계의 줄도산 공포는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사진은 서울 시내 한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 근로자들이 작업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 뉴시스)
이종용 기자 yong@etomato.com
문성주 기자 moonsj7092@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