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윤영혜 기자] 산업통상자원부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는 '우리 기업이 알아야 할 호주 식품 수출 A to Z'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보고서에는 △호주 식품 산업 현황 분석 △호주 식품 소비 트렌드 및 시장 수요 소개 △호주 식품 정책 및 수출입 절차 정보 △한국 기업의 호주 식품 시장 진출 방안 등이 담겼습니다.
올해 호주 식품 시장 규모는 약 1285억 호주달러(117조192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4.8%를 기록,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밀, 소고기, 카놀라가 있으며, 수입 품목은 조제식료품, 빵, 위스키 등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한국산 식품 수입 규모는 2019년부터 연평균 8.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3년에는 2억1250만 달러(2967억원)에 달했습니다.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인스턴트 라면, 스낵, 김, 소스류 등이 있는데요. K-콘텐츠의 영향으로 한국 식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호주의 주요 슈퍼마켓에서도 한국 식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호주로의 식품 수출은 안전성과 품질 기준을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FSANZ)은 호주·뉴질랜드 식품 기준 코드(ANZFSC)를 통해 라벨링, 영양정보, 성분 등에 대한 세부 기준을 관리하며, 농수산임업부(DAFF)는 생물보안 및 수입 검사를 감독합니다.
특히 생물보안 수입 조건 시스템(BICON)를 활용해 식품별 수입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수입식품 검사 제도(IFIS)를 통해 위험 및 감시 식품은 철저한 검역을 거칩니다.
한국 수출업체는 자유무역협정(FTA)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원산지 증명서 발급이 필요하고, 필요한 경우 BICON을 통한 수입 허가 신청과 라벨링 규정 준수를 통해 효율적인 통관 절차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통관 거부 사례는 성분 부적합, 위생 문제 등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기준 준수가 필수적입니다.
한국 기업이 호주 식품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째, 호주의 식품 안전 기준과 라벨링 규정 등 현지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고, 이에 맞는 인증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둘째, 한-호 FTA를 활용해 관세 혜택을 누리고, 현지화된 제품 개발과 K컬처를 접목한 마케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셋째, 친환경 포장과 윤리적 생산을 강조해 소비자 신뢰를 구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유통 채널 확장과 효율적 운영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규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동묘 코트라 멜버른 무역관장은 "호주 시장에서 K-푸드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며 "건강 지향적인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호주의 식품 안전 기준과 라벨링 규정 등 현지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기업이 알아야 할 호주 식품 수출 A to Z' 보고서는 코트라 무역자료실 홈페이지(dl.kotra.or.kr)와 코트라 해외시장뉴스(dream.kotra.or.kr)에서 PDF 파일로 무료로 제공됩니다.
코트라 전경(사진=코트라)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
newstomato.com | 윤영혜 기자
보고서에는 △호주 식품 산업 현황 분석 △호주 식품 소비 트렌드 및 시장 수요 소개 △호주 식품 정책 및 수출입 절차 정보 △한국 기업의 호주 식품 시장 진출 방안 등이 담겼습니다.
올해 호주 식품 시장 규모는 약 1285억 호주달러(117조192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4.8%를 기록,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밀, 소고기, 카놀라가 있으며, 수입 품목은 조제식료품, 빵, 위스키 등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한국산 식품 수입 규모는 2019년부터 연평균 8.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23년에는 2억1250만 달러(2967억원)에 달했습니다.
주요 수입 품목으로는 인스턴트 라면, 스낵, 김, 소스류 등이 있는데요. K-콘텐츠의 영향으로 한국 식품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호주의 주요 슈퍼마켓에서도 한국 식품을 쉽게 구매할 수 있게 됐습니다.
다만 호주로의 식품 수출은 안전성과 품질 기준을 엄격히 준수해야 합니다.
호주·뉴질랜드 식품기준청(FSANZ)은 호주·뉴질랜드 식품 기준 코드(ANZFSC)를 통해 라벨링, 영양정보, 성분 등에 대한 세부 기준을 관리하며, 농수산임업부(DAFF)는 생물보안 및 수입 검사를 감독합니다.
특히 생물보안 수입 조건 시스템(BICON)를 활용해 식품별 수입 가능 여부를 사전에 확인하고, 수입식품 검사 제도(IFIS)를 통해 위험 및 감시 식품은 철저한 검역을 거칩니다.
한국 수출업체는 자유무역협정(FTA)를 활용하고자 할 경우 원산지 증명서 발급이 필요하고, 필요한 경우 BICON을 통한 수입 허가 신청과 라벨링 규정 준수를 통해 효율적인 통관 절차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반면 통관 거부 사례는 성분 부적합, 위생 문제 등에서 주로 발생하므로 기준 준수가 필수적입니다.
한국 기업이 호주 식품 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첫째, 호주의 식품 안전 기준과 라벨링 규정 등 현지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고, 이에 맞는 인증 등을 미리 준비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둘째, 한-호 FTA를 활용해 관세 혜택을 누리고, 현지화된 제품 개발과 K컬처를 접목한 마케팅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셋째, 친환경 포장과 윤리적 생산을 강조해 소비자 신뢰를 구축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유통 채널 확장과 효율적 운영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규제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김동묘 코트라 멜버른 무역관장은 "호주 시장에서 K-푸드의 성장 가능성은 매우 크다"며 "건강 지향적인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 개발에 힘쓰고 호주의 식품 안전 기준과 라벨링 규정 등 현지 규제를 철저히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우리 기업이 알아야 할 호주 식품 수출 A to Z' 보고서는 코트라 무역자료실 홈페이지(dl.kotra.or.kr)와 코트라 해외시장뉴스(dream.kotra.or.kr)에서 PDF 파일로 무료로 제공됩니다.
코트라 전경(사진=코트라)
윤영혜 기자 yyh@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