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유지웅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5일 "대통령을 비롯해, 위헌적 계엄으로 피해를 준 관련자는 엄정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윤 대통령의 탈당을 재차 요구했습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운데)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면담에서 윤 대통령은 '민주당 폭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비상계엄을 했다'고 말했다"며 "대통령의 사태 인식은 국민과 큰 차이가 있었고, 공감하기 어려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민주당 폭거는 반드시 심판받아야 하지만,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합리화할 수는 없다"며 "즉시 이번 사태에 관여한 군 관계자를 직에서 배제해 국민 불안을 줄이고 군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제가 책임지고 이 사태를 수습하겠다.
제게 그 임무를 맡겨달라"며 "정말 어려운 과제지만, 국민만 바라보고 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대통령에 대한 한 대표의 탈당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한지아 수석대변인이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설득 작업에 들어가서 총의를 모으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한 대표는 '대통령 탄핵'엔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범죄 혐의를 피해가고자 정권을 잡으려는 세력은 막아야 한다"며 "준비 없는 혼란, 그로 인한 국민 피해를 막기 위해 탄핵소추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한 대표는 '의원총회 방식'에 대해서도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매번 의원총회에서 당대표 모르게 당론이 결정되고 있다"며 "당대표가 사전에 알아야 하고, 당 대표가 의견을 낼 기회도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친윤(친윤석열)·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의 시각차가 극명히 갈렸습니다.
친윤계 김민전 최고위원은 "민주당의 무도함을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해, 결국 계엄 사태가 발생했다"고 발언했습니다.
반면 친한계 진종오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이 45년 만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데 앞장섰다"며 "타인에 책임을 전가하지 말고, 즉각 국민 앞에 나와 이번 사태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종혁 최고위원도 "헌법·법률 위반이라는 지적에 대해 대통령은 아무 해명이 없다"며 "당원이 수사를 받거나 기소가 되는 경우엔 탈당하고 무죄 판결을 받은 뒤 다시 입당하라고 권고한다.
1호 당원인 대통령이 모범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압박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
newstomato.com | 유지웅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운데)가 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입장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어제 면담에서 윤 대통령은 '민주당 폭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비상계엄을 했다'고 말했다"며 "대통령의 사태 인식은 국민과 큰 차이가 있었고, 공감하기 어려웠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민주당 폭거는 반드시 심판받아야 하지만, 위헌·위법한 비상계엄을 합리화할 수는 없다"며 "즉시 이번 사태에 관여한 군 관계자를 직에서 배제해 국민 불안을 줄이고 군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제가 책임지고 이 사태를 수습하겠다.
제게 그 임무를 맡겨달라"며 "정말 어려운 과제지만, 국민만 바라보고 가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대통령에 대한 한 대표의 탈당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한지아 수석대변인이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설득 작업에 들어가서 총의를 모으겠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한 대표는 '대통령 탄핵'엔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범죄 혐의를 피해가고자 정권을 잡으려는 세력은 막아야 한다"며 "준비 없는 혼란, 그로 인한 국민 피해를 막기 위해 탄핵소추안이 통과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했습니다.
이 자리에서 한 대표는 '의원총회 방식'에 대해서도 불만을 드러냈습니다.
그는 "매번 의원총회에서 당대표 모르게 당론이 결정되고 있다"며 "당대표가 사전에 알아야 하고, 당 대표가 의견을 낼 기회도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선 친윤(친윤석열)·친한(친한동훈)계 의원들의 시각차가 극명히 갈렸습니다.
친윤계 김민전 최고위원은 "민주당의 무도함을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해, 결국 계엄 사태가 발생했다"고 발언했습니다.
반면 친한계 진종오 최고위원은 "윤 대통령이 45년 만에 비상계엄을 선포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데 앞장섰다"며 "타인에 책임을 전가하지 말고, 즉각 국민 앞에 나와 이번 사태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김종혁 최고위원도 "헌법·법률 위반이라는 지적에 대해 대통령은 아무 해명이 없다"며 "당원이 수사를 받거나 기소가 되는 경우엔 탈당하고 무죄 판결을 받은 뒤 다시 입당하라고 권고한다.
1호 당원인 대통령이 모범을 보여주길 바란다"고 압박했습니다.
유지웅 기자 wiseman@etomat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