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토마토 신유미 기자] 금융감독원이 최근 정치 상황 급변에 따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관련해 증권사 최고경영자(CEO)들을 한 자리에 모아 증권시장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선제적이고 적극적인 역할을 당부했습니다.
다만 이번 간담회가 계엄 정국 이전에 예정돼 있던 자리이다 보니 증권사들의 영업관행에 대한 지적 등 현재 시장의 우려와는 동떨어진 주제들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증권시장 안정성 확보 당부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은 5일 오전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주요 선진국 증시와 달리 우리 증권시장의 체력은 그 어느 때보다 약화되어 있으며, 향후 국내외로부터 추가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금융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의 전이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이날 국내 증권사 대표들과 긴급현안 간담회를 열고 최근 정치상황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와 관련해 증권사들의 대비상황을 점검하고, 자본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서 증권사의 금융시장 안정성 제고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선제적 대응을 당부했습니다.
이날 오전 7시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는 함 부원장, 서재완 부원장보 등을 비롯해 서유석 금투협회장, 36개 국내 증권사 대표 등이 참석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증권사 대표들에게 자본시장의 핵심 역할을 강조하며 △유동성 및 환율 리스크에 대비한 종합 컨틴전시 플랜 마련 △금융감독당국과의 협력 강화 △투자자 보호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4일 오전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긴급 현안이 발생하면서 핵심 주제가 금융시장 변동성 대응으로 바뀌었습니다.
당초 금감원은 증권사 CEO들에게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 강화를 요구할 계획이었습니다.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이 5일 오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증권사 CEO 긴급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감원)
최근 금융사고 관련 내부통제 부실 지적도
금감원은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함께 각사 대표 중심의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 보호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는데요. 특히 전사 차원의 수직적·수평적 내부통제 강화도 요구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최근 금융사고 사례를 언급하며 "최근 잇따른 증권사 임직원의 사익 추구 행위,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LP) 금융사고는 내부통제 부실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단기 실적 위주의 성과보수체계가 과도한 리스크를 유발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금감원은 부서별 업무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보수체계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투자자 신뢰를 외면하는 영업관행에는 엄중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증권사가 IPO 주관업무 수행 과정에서 정보 비대칭을 악용해 고객의 이익을 저해한 행위하고 발행회사 또는 자기이익만을 추구하는 행위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금감원이 언급한 사례는 △공모가격 부풀리기 △중요사실 부실기재 △상장직후 대량매도 △공개매수제도 악용 등입니다.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관리를 해태하거나 주관사 주의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엄중조치하겠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증권사 대표들은 이번 간담회에서 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비상대응계획에 따라 리스크 관리와 모니터링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투자자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영업 관행을 정착시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금감원은 향후 자본시장 관련 긴급 현안사항 발생 '(가칭)CEO Letter'등을 통해 신속하게 업계와 공유하고 대책을 모색할 방침입니다.
신유미 기자 yumix@etomato.com
newstomato.com | 신유미 기자
다만 이번 간담회가 계엄 정국 이전에 예정돼 있던 자리이다 보니 증권사들의 영업관행에 대한 지적 등 현재 시장의 우려와는 동떨어진 주제들이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증권시장 안정성 확보 당부
함용일 금융감독원 자본시장·회계 부원장은 5일 오전 금융투자협회 대회의실에서 "주요 선진국 증시와 달리 우리 증권시장의 체력은 그 어느 때보다 약화되어 있으며, 향후 국내외로부터 추가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금융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의 전이도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말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이날 국내 증권사 대표들과 긴급현안 간담회를 열고 최근 정치상황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와 관련해 증권사들의 대비상황을 점검하고, 자본시장의 핵심 플레이어로서 증권사의 금융시장 안정성 제고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선제적 대응을 당부했습니다.
이날 오전 7시30분부터 한 시간 동안 비공개로 진행된 간담회에는 함 부원장, 서재완 부원장보 등을 비롯해 서유석 금투협회장, 36개 국내 증권사 대표 등이 참석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증권사 대표들에게 자본시장의 핵심 역할을 강조하며 △유동성 및 환율 리스크에 대비한 종합 컨틴전시 플랜 마련 △금융감독당국과의 협력 강화 △투자자 보호 강화를 요청했습니다.
이날 간담회는 지난 4일 오전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긴급 현안이 발생하면서 핵심 주제가 금융시장 변동성 대응으로 바뀌었습니다.
당초 금감원은 증권사 CEO들에게 내부통제와 리스크 관리 강화를 요구할 계획이었습니다.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이 5일 오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증권사 CEO 긴급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금감원)
최근 금융사고 관련 내부통제 부실 지적도
금감원은 금융시장 불안요인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함께 각사 대표 중심의 철저한 리스크 관리와 투자자 보호에 만전을 기할 것을 당부했는데요. 특히 전사 차원의 수직적·수평적 내부통제 강화도 요구했습니다.
함 부원장은 최근 금융사고 사례를 언급하며 "최근 잇따른 증권사 임직원의 사익 추구 행위, 상장지수펀드(ETF) 유동성공급자(LP) 금융사고는 내부통제 부실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단기 실적 위주의 성과보수체계가 과도한 리스크를 유발한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
금감원은 부서별 업무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보수체계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투자자 신뢰를 외면하는 영업관행에는 엄중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증권사가 IPO 주관업무 수행 과정에서 정보 비대칭을 악용해 고객의 이익을 저해한 행위하고 발행회사 또는 자기이익만을 추구하는 행위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금감원이 언급한 사례는 △공모가격 부풀리기 △중요사실 부실기재 △상장직후 대량매도 △공개매수제도 악용 등입니다.
투자자와의 이해상충 관리를 해태하거나 주관사 주의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엄중조치하겠다는 점도 강조했습니다.
증권사 대표들은 이번 간담회에서 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비상대응계획에 따라 리스크 관리와 모니터링 강화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투자자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영업 관행을 정착시키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금감원은 향후 자본시장 관련 긴급 현안사항 발생 '(가칭)CEO Letter'등을 통해 신속하게 업계와 공유하고 대책을 모색할 방침입니다.
신유미 기자 yumix@etomato.com